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민금융진흥원, 금융감독원의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사이트

by 수예맘 2021. 10. 6.

정부나 지자체에서 대출 지원을 해주거나
은행에서 가장 낮은 금리의 대출을 찾는 방법
가장 높은 금리의 예금 적금을 찾는 방법



정부에서 상황에 따라 대출을 지원해 주기도 하고, 저소득층이나 청년들에게는 일정 비율을 정해서 금액을 매칭해 주거나, 적금 이자를 얹어주기도 한다

그리고 은행마다 수많은 상품들이 새롭게 출시되기 때문에 광고 몇 개만 보고 대출이나 저축 상품을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럴 때 실시간으로 정부에서 어떤 지원을 해주는지, 각각 어느 은행에 어떤 상품을 금리가 낮고 높은지 정확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각 은행별 대출이나 저축 상품을 알아볼 수 있고, 초저금리 정부 지원 대출이나, 2배에서 5배 이상 이자가 생기는 정부 지원 저축 제도도 찾아보실 수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 한눈에 메뉴를 보면 "대출 상품 한눈에"
대상 용도 금액 연령 지역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최저 금리 순으로 배열을 해보면 이렇게 0% 금리부터 전국의 모든 서민들을 위한 대출 상품이 낮은 금리부터 쭉 나온다. 일시적으로 지원되는 정부 지원 대출 부터 각종 주택담보대출 소상공인 특별 대출까지 모두 나온다.

코로나19 지원 관련 대출만 따로 검색 하면 409개의 대출 상품이 나온다
각 지자체별로 초저금리 대출 지원이 많이 보인다
무이자 대출부터 최고금리인 20% 대출까지 서민금융 관련 정보 지원 대출부터 저축은행 대출까지 모두 찾아볼 수 있다.

자산 형성 상품 한눈에 메뉴에서는 희망 키움 통장 1 2유형 내일 키움 통장, 청년 내일 채용 공제 같이 대표적인 정부 지원 저축 상품 을 비롯해서 각 지자체별로 따로 지원해 주는 자산형성 저축상품들을 모두 볼수있다.
시중은행에서 판매 중인 저소득층 근로장려금 수급자 같은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정부 지원 상품들을 모두 찾아볼 수 있다.


금융감독원의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사이트


시중은행의 모든 대출 상품과 저축 상품을 모두 비교해 볼수 있다. 전국의 모든 은행 저축은행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한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먼저 찾아보고, 본인에게 해당되는 정부 지원 정책이 없다면, 이곳에서 시중은행이나 저축은행 등의 금융 상품들을 찾아보고 비교해서 선택할 수 있다.

부자 되세요. 아래 적금을 누르면 금액 기간을 입력해서 검색할 있는데, 30만 원씩 36개월을 선택해서 검색해 보면 259건의 결과가 나온다.

가장 윗줄에 세전 이자율 세후 이자율, 세후이자 이렇게 비교 선택 메뉴가 있는데 세전 세후 이자율 이렇게 계산하면 너무 복잡하니까 그냥 세후이자 글씨를 클릭해서 세금 떼고 받을 수 있는 순수 이자가 얼마인지. 많은 순서대로 정렬을 해서 단순히 이자 금액이 가장 큰 걸 골라서, 온라인으로 가입을 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우측의 상세 정보에서 더 자세한 내용과 함께 가입할 수 있는 링크도 연결되어 있다.

금리가 높은 적금은 상위가 대부분 저축은행들인데 저축은행도 5천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니까 지금 당장 가입하실 필요는 없더라도 추가로 금리가 인상되면 수입이 늘어났거나 목돈이 생겼을 때 이렇게 비교해 보시고 저축을 하시면 좋겠다.

다음으로 대출 정보를 비교해 볼 수 있는 필요하세요에서는 개인 신용대출을 검색해 보면 평균 금리와 함께 신용 점수대별로 적용되는 금리가 나온다. 역시 가장 윗줄에 있는 메뉴에서 평균 금리를 누르면 평균 금리가 낮은 순서대로 정렬을 해볼 수 있고, 본인이 속한 신용 점수대를 누르면, 그 신용점수 수대에서 금리가 가장 낮은 순서대로 정렬을 할 수 있다.

다른 대출 메뉴에서도 마찬가지로 모든 은행의 대출을 비교해 볼 수 있고 역시 가장 윗줄에서 최저금리 순서로 정렬하거나 월 평균 상환액 순서로 정렬할 수 있어서 대출을 받기 전에 쉽게 비교해보고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요즘 같이 모든 정보가 공유되는 시대에는 은행에서 오프라인으로 신청을 하더라도 먼저 이렇게 비교를 해보고 대출이든 저축이든 가입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지금 당장 대출이나 저축이 필요한 분들이 아니더라도 먼저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대출이나 저축 제도를 서민금융진흥원에서 확인해 보고 해당이 안 된다면 금융감독원 사이트에서 확인 하는 방법을 미리 알아두었다가 나중에 필요할 때 비교해 보고 결정하면 도움이 될 것 같다.

출처 유투브 복지마블TV